[개념]
ls 명령어는 파일과 디렉토리의 리스트를 볼 수 있다.
자세하게 파일의 종류 , 파일의 링크 상태 , 파일의 크기 , 파일이 만들어진 시기 등을 체크할 수 있어서 관리자가 파일에 대한 정보를 알아보는데 도움이 된다.
[기본 사용법]
ls [<옵션>] ... [<파일>]
별 다른 옵션을 주지 않고 단순히 ls만 입력하면 아래와 같이 현재 디렉토리에 있는 파일명(숨김 파일)을 제외한 모든 파일(또는 디렉토리)의 이름 리스트를 볼 수 있다.
[ls 자주 사용하는 옵션]
옵션 | 설명 | 예제 |
-a | 숨김 파일 포함 리스팅 "." , ".." 포함 | ls -a |
-A | 숨김 파일 포함 리스팅 "." , ".." 제외 | ls -A |
-d | 디렉토리 자체 확인 | ls -ld 다운로드 |
-l | 상세 리스팅 | ls -l 또는 ll |
-F | 파일 속성기호 표시 리스팅 | ls -F |
-b | 공백 및 특수문자가 있을 경우 \를 붙여줌 | ls -b |
-h | 파일의 사이즈에 따라 K , M , G 등의 단위를 붙여줌 | ls -lh |
-n | 소유자 및 소유그룹을 UID , GID로 보여줌 | ls -ln |
-R | 서브 디렉토리를 재귀적으로 리스팅 | ls -R |
-S | 사이즈를 기준으로 정렬하여 리스팅 | ls -lS |
-t | 변경시간 기준으로 정렬하여 리스팅 | ls -lt |
그 밖에 옵션은 "ls --help" 또는 "man ls" 로 확인할 수 있다.
[-a , -A]
-a 옵션을 이용하면 현재 나타나지 않는 숨김 파일(Hidden File)을 포함한 모든 파일의 리스트를 볼 수 있다.
유닉스 시스템에서 숨김 파일이란 일반적으로 ls 로는 보이지 않는 감춰진 파일을 말한다.
파일의 이름 앞에 .(피리어드)가 붙으면 숨김 파일로 간주된다.
만약 "." , ".." 은 숨기려면 -a 대시 -A를 사용한다.
[-d ]
-d 옵션을 사용하면 디렉토리의 이름이 있는 경우 해당 기렉토리의 내용을 보여주지 않고, 이름을 보여준다.
ls -d /boot/ 했을 시, /boot/ 나타난다.
[-l ]
-l 옵션을 사용하면 파일의 사이즈 , 사용 권한과 같은 상세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F ]
-F 옵션을 사용하면 파일의 속성을 확인할 수 있다.
일반 파일은 아무런 변화 없이 출력된다.
디렉토리는 / 가 붙는다.
실행 파일은 * 붙는다.
심볼릭 링크의 경우 파일명 뒤에 @가 붙는다.
[옵션의 복합]
ls 명령어 에서 옵션들은 하나만 쓰일 수도 있고, 여러 개가 같이 쓰일 수도 있다.
ls -lF * 와 같은 형식으로 쓸 수 있다.
아래 ls -Al 은 숨김 파일 포함 리스팅 "." , ".." 제외와 상세 리스팅 확인해 보았다.
'Linux > CentOS' 카테고리의 다른 글
tree (파일 및 디렉토리 트리 보기) (0) | 2024.09.05 |
---|---|
yum오류 Could not retrieve mirrorlist error was (0) | 2024.09.05 |
파일 권한 및 소유권(퍼미션) (0) | 2024.09.03 |
CenOS 7 관리자 권한 전환(sudo , su) (0) | 2024.08.29 |
리눅스 사용자&그룹 설정 , 암호정책 설정 (0) | 2024.08.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