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개념]
du는 "Disk Usage"의 약어이다. 파일 및 디렉토리의 사용량을 확인할 때 사용하는 명령어 이다.
이 명령어는 df 명령어와 함께 리눅스에서 디스크의 사용량을 점검하고 확인하기 위해 자주 사용된다.
즉, df 명령어가 파티션(파일 시스템) 단위의 디스크 사용량을 점검한다면 du 명령어는 특정 디렉토리 또는 파일을 단위로 하여 그 용량을 확인하는 명령어이다.
[기본 사용법]
du [OPTION] ... [FILE] ...
또는
du [OPTION] ... --files0-from=F
사용된다.
[테스트]
/ 디렉토리 아래 파일 및 디렉토리의 용량을 확인한 것이다.
아래 결과를 봤을 때 /usr 이 3.8G로 가장 많이 차지하는 것으로 보인다.
리눅스 시스템을 관리하다가 디스크 용량이 가득 찬 경우 이와 같은 방법으로 많이 차지하는 디렉토리를 찾아갈 수 있다.
find 명령어로도 용량이 큰 파일을 쉽게 찾을 수 있다.
[옵션]
옵션 | 기능 |
-a | 모든 파일들의 정보를 출력한다. 초기 값은 경로(디렉토리)에 대한 정보만 출력한다. |
-b | 출력 단위를 Byte로 한다. |
-c | 모든 파일의 디스크 사용 정보를 먼저 보여주고 나서 합계를 출력한다. 초기 값이다. |
-k | 출력 단위를 1KB 단위로 표시한다. |
-l | 하드 링크되어 있는 파일이 있는 경우 그것을 그대로 계산한다. |
-h | 표시되는 용량을 가장 알기 쉬운 용량단위(byte , kbyte , Mbyte , Gbyte 등) 로 표시한다. |
-s | 지정된 디렉토리 내에 존재하는 모든 파일과 서브디렉토리들의 용량을 모두 합친 전체용량을 출력한다. |
자세한 옵션은 du --help 또는 man du로 확인할 수 있다.
반응형
'Linux > CentOS' 카테고리의 다른 글
stat 파일 및 파일 시스템 상태 표시 (0) | 2024.09.12 |
---|---|
file 파일 종류 확인 (0) | 2024.09.11 |
find 파일 및 디렉토리 검색 (0) | 2024.09.10 |
rmdir 디렉토리 삭제 (0) | 2024.09.10 |
rename 파일 및 디렉토리 이름 변경 (0) | 2024.09.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