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개념]
split는 지정된 파일을 주어진 방식대로 나누는(쪼개는, 조각내는) 명령어 이다.
특정 파일을 나누는 방법으로 용량별로 나누는 방법, 행수로 나누는 방법 등이 있다.
이 명령어는 특정 파일의 용량이 너무 커서(용량,행 등의) 단위별로 나눌 필요성이 있거나 특정 목적에 의해 나누어서 사용해야 할 경우에 사용된다.
[옵션]
옵션 | 기능 |
-b, --bytes=SIZE | 지정된 바이트 단위로 파일을 자른다 |
-l, --lines=number | 지정된 행수 단위로 파일을 자른다 |
-C, --line-bytes=SIZE | 생성되는 파일에서 행들의 최대 바이트를 지정한다 |
-a, --suffix-lingth=N | 파일명의 길이를 지정한 문자수로 하여 파일을 생성한다 |
[테스트1]
10행씩 - 줄로 나눠났다.
데이터는 41행이 있다.
20행씩 데이터를 분리하여 익명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는 명령어 이다.
20행씩 데이터가 분리된 익명 이름 파일이 조회된다.
xaa , xab , xac
xaa확인
xab확인
xac
[테스트2]
해당 파일의 1Kbyte 데이터만 익명 이름으로 저장한다.
xaa
옵션은 위와 동일하다.
저장하는 파일명 글자수를 5글자로 생성한다.
반응형
'Linux > CentOS' 카테고리의 다른 글
디스크 관리 (0) | 2024.12.19 |
---|---|
프로세스 (0) | 2024.12.02 |
sort 파일 내용 정렬 (0) | 2024.11.29 |
grep 패턴 매칭 라인 출력 (0) | 2024.11.28 |
cut 파일 각 라인 필드 출력 (0) | 2024.11.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