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개념]
하드웨어 장비에서 디스크(하드디스크나 SSD)의 개수가 홀수냐, 짝수냐가 중요한 이유는 주로 RAID 구성을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달라진다. 단순히 홀수가 좋다/짝수가 좋다기보다는 어떠한 목적(성능, 안정성, 비용 등) 목적에 따라 선호되는 구성이 달라지며, 그에 따라 디스크 수가 결정된다.
[RAID란?]
RAID(Redundant Array of Independent Disks)는 여러 개의 디스크를 조합하여 하나의 논리적 디스크처럼 사용하는 기술이다.
- 성능 향상
- 데이터 안정성 확보
- 장애 대응을 목표로 한다.
[짝수 개 디스크가 일반적으로 선호되는 이유]
- RAID 1 (미러링):
- 2개의 디스크가 필요 (짝수)
- 한 디스크에 데이터를 쓰면 동일한 내용을 다른 디스크에 복사.
- 안정성 ↑, 속도 ↓ (쓰기 시)
- 짝수 개 단위로 구성됨 (2, 4, 6...)
- RAID 10 (1+0):
- 최소 4개 필요 (짝수)
- 두 개씩 묶어 미러링 후, 묶은 것들끼리 스트라이핑
- 속도와 안정성 모두 확보
- 짝수 디스크 수 필요
- RAID 6 (이중 패리티):
- 최소 4개 필요, 일반적으로 짝수로 구성
- 2개의 디스크가 장애 나도 데이터 복구 가능
[홀수 디스크가 사용되는 경우]
- RAID 5 (패리티 사용):
- 최소 3개 필요 (홀수)
- 패리티 데이터를 이용해 1개의 디스크 장애 복구 가능
- 3, 5, 7개로 구성 가능 (꼭 홀수는 아님, 4개도 가능)
- 성능과 안정성의 밸런스
- 비RAID 구성 혹은 단순 JBOD (Just a Bunch of Disks):
- 단순히 여러 디스크를 붙여 쓰는 형태
- 홀수든 짝수든 상관없음
[비교 요약]
항목홀수 디스크 구성짝수 디스크 구성
대표 RAID 타입 | RAID 5 | RAID 1, 10, 6 등 |
최소 디스크 수 | 3개 (RAID 5) | 2개 이상 (RAID 1/10) |
안정성 | 보통 (1개 장애 복구) | 높음 (RAID 1: 1개, RAID 10: 1개 이상 복구 가능) |
성능 | 읽기 성능은 우수, 쓰기는 패리티 계산으로 느릴 수 있음 | RAID 10은 속도/안정성 모두 우수 |
비용 효율 | 저장 공간 효율 높음 | 저장 공간 대비 비용 비효율 (미러링으로 절반 사용) |
[결론]
- 짝수 디스크가 무조건 더 좋다는 건 아님.
- RAID 구성 목적에 따라 필요한 디스크 수가 정해지며, 그에 따라 짝수 구성이 많이 사용될 뿐
- 성능과 안정성 모두 고려한 RAID 10은 짝수 디스크를 필요로 하며, 가장 많이 선호되는 구성 중 하나이다.
- RAID 5 같이 디스크 3개로 구성 가능한 경우도 많아, 홀수도 사용된다.
- 회사 견적서에 짝수 갯수로 왔다면 RAID-6인 레이드 기준으로 견적이 될 수 있다.
용량 기준이라면 RAID-6 홀수 디스크 갯수로 해도 상관 없다.
반응형
'Storage'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화웨이 OceanStor 5310 (SAS) 인터페이스 모듈 설치 규칙 (0) | 2025.04.07 |
---|---|
HUAWEI Storage 관리자 운영 교육용 목차 (0) | 2025.03.28 |
화웨이 OceanStor Dorado 5000 (SAS) 인터페이스 모듈 설치 규칙 (0) | 2025.02.12 |
화웨이 OceanStor Dorado 3000 (NVMe) 인터페이스 모듈 설치 규칙 (0) | 2025.02.12 |
HyperClone (0) | 2025.02.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