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nux/CentOS

chmod 파일 권한 바꾸기

refer 2024. 9. 26. 18:06
반응형

[개념]

 

chmod는 특정 파일 또는 디렉토리의 주어진 퍼미션(permission)을 변경할 때 사용하는 명령어이다.

chmod 명령으로 파일의 퍼미션을 설정하는 방법에는 8진수 숫자로 지정하는 방법(절대 모드 지정 방법)

특정 문자를 이용한 방법(상대 모드 지정 방법) 으로 두 가지가 있다.

 

예) 특정 설치파일 권한이 읽기만 있다면, 설치되지 않을 것이다.

      쓰기 권한을 포함하여 퍼미션을 변경해서 읽기 권한만 있는 파일을 쓰기 권한을 부여해서 설치할  수 있다.

 


[기본 사용법]

 

절대 모드 지정 방법 : chmod [옵션] [--옵션] [8진수 모드] [파일]

 

상대 모드 지정 방법 : chmod [옵션] [--옵션] [모드] [파일]

 


[옵션]

 

옵션 설명
-R , --recursive 가장많이 사용하는 옵션
디렉토리와 그 안에 존재하는 서브디렉토리까지 모두 적용
-C , --changes 올바르게 변경된 파일들만 -v 옵션을 적용하여 자세히 보여준다.
-f , --silent , --quite 가능한 불필요한 메시지를 보여주지 않고 간략하게 보여준다.
-v , --verbose 실행 과정을 자세하게 보여준다.
-help 사용 가능한 옵션들과 사용법을 보여준다.
--version 현재 버전 정보를 보여준다.

[절대 모드 지정 방법]

 

8진수 숫자로 퍼미션을 지정하는 방법이다.

0번부터 7번까지 숫자로 설정한다.

읽기는 4 , 쓰기는 2 , 실행은1 이다.

이것이 모두 없으면 0 이고 , 이것을 모두 더하면 7이다. 이 숫자를 조합하여 퍼미션을 설정한다.

이 숫자들은 파일의 소유자 권한 , 그룹소속자 권한 , 일반 다른 사용자 권한의 순서로 기술하면 각각에 대한 권한이 설정된다. 즉 , 100단위 , 10단위 , 1단위 위치에 각각의 권한을 설정할 수 있다.

접근 주체 허가 접근 유형 절대 모드 지정
파일 소유자 읽기 r 400
쓰기 w 200
실행 x 100
그룹 소속자 읽기 r 40
쓰기 w 20
실행 x 10
일반 다른 사용자 읽기 r 4
쓰기 w 2
실행 x 1

[절대 모드 지정 방법 테스트1]

 

현재 755로 설정된 파일을 (파일 소유자에게는 읽기 , 쓰기 , 실행 ) / (그룹 소속자에게는 읽기 , 쓰기없음 , 실행) /

                                          (일반 다른 사용자에게는 읽기 , 쓰기없음 , 실행) 

 

511으로 퍼미션을 설정 한다 (파일 소유자에게는 읽기 , 쓰기없음 , 실행) / (그룹 소속자에게는 읽기없음 , 쓰기없음 , 실행) / (일반 다른 사용자 실행)

 


[상대 모드 지정 방법 테스트1]

 

특정 문자를 이용한 퍼미션 설정 방법이다.

 

u : 파일 소유자

g : 그룹 소속자

o : 일반 다른 사용자

a : 모두

+ : 권한 부여

- : 권한 제거

= : 권한 유지

r : 읽기

w : 쓰기 

x : 실행

s : SetUID 또는 SetGID 설정

 

위 문자를 지정하여 퍼미션을 설정한다.

 

접근 주체 의 미 실행자 의 미 권한 의 미
u 파일 소유자 + 권한 부여 r 읽기
g 그룹 소속자 - 권한 제거 w 쓰기
o 일반 다른 사용자 = 권한 유지 x 실행
a 모두     s SetUID 또는 SetGID

 

 

[상대 모드 지정 방법 테스트2]

 

모든 접근 주체에 대해 실행 권한을 제거해 본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