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nux/CentOS

cat 파일 내용 출력 및 반복문 활용

refer 2024. 11. 11. 11:05
반응형

cat은 특정 파일의 내용을 확인하거나 간단한 파일을 생성하고자 할 경우에 사용되는 명령어 이다.

텍스트로 된 파일일 경우에는 그 내용을 읽거나 알아 볼 수 있지만,

바이너리 파일의 경우에는 내용을 출력은 하지만 알아볼 수는 없다.

 

텍스트 파일

예)

 

바이너리 파일

(0과 1로 이루어진 이진수 파일 , 컴퓨터에서는 바이너리 파일을 CPU가 직접 읽어들여 명령어를 수행하며, 기계어 라고도 한다.)

 

예)

/bin , /sbin , /lib , /opt /bin

 


cat 옵션

 

옵 션 기 능
-b 비어있는 줄이 아닐 경우 줄 번호를 붙여 표시한다.
-n 모든 라인에 줄 번호를 붙여 표시한다.
-E 각 줄의 끝에 $를 붙여서 줄의 끝을 표시해 준다.
-s 빈 줄이 연속적으로 여러 줄이 있는 경우, 하나의 빈 줄만 표시한다.
-T TAB 문자를 ^I 로 표시한다.
-v LFD (쪽 바꿈 : LineFeed)와 TAB을 제외한 제어 문자를 출력한다.
-a -vET와 동일하다. 모든 문자를 출력한다.

 

 

예)

touch 명령어로 for-exam.sh 파일을 생성한다.

vi 또는 nano 편집기 사용

 

내용작성

 

-n 옵션 사용

 


echo (>)

 

echo 는 터미널 에서 문자열을 출력할 때 사용한다.

echo에 > 연산자를 사용하면 문자열을 파일에 출력할 수 있다.

파일이 이미 존재한다면 > 연산자 사용 시 파일의 내용을 모두 제거하고, 전달된 문자열만 저장되게 된다(주의)  

 

예)

echo 문자열 > 파일

 

 

 


echo (>>)

 

echo >> 연산자를 두번 사용하면, 기존 파일의 내용을 삭제하지 않고, 파일 내용 끝에 문자열을 추가한다.

즉, 기존 파일 내용들은 삭제되지 않고 문자열만 추가된다.

 

예)

echo 문자열 >> 파일

 


반복문 (for)

 

nano 또는 vi 편집기 사용

 

내용작성

 

반복문 실행

 


반복문 (while)

 

touch 파일생성

vi 또는 nano 편집기 사용

 

 

내용작성

 

반복문 실행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