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테크/주식(공부)

키움증권 영웅문 주문창 이해하기

refer 2025. 2. 7. 18:39
반응형

도움되는 기사 정보가 있어 안내 합니다.

 

주식 매수 매도 방법 - 주식을 사고 팔아보자!(키움증권)


 

1. 이해해야 하는 부분

 

"매도 호가창, 매수 호가창"

 

주식은 마트에서 사는 물건과 같이 정가가 있는 것이 아닙니다. 사고파는 사람에 의해서 가격이 결정되는 것입니다. 그래서 주식을 거래하는 곳을 주식 시장이라고 부르죠. 한번 예를 들어 보겠습니다.

우리가 당근마켓에 최신형 아이폰을 판다고 해보겠습니다. 산 지 얼마 안 돼서 상태가 좋은 물건입니다. 그래서 정가보다 조금 내려서 100만원에 올렸습니다. 그런데 웬걸? 아무도 연락이 안 옵니다. 그러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눈물을 머금고 가격을 낮춥니다. 95만원으로 가격을 조정하니 누군가가 연락이 옵니다. 하지만 찔러보기만 할 뿐 사지는 않네요.

또 가격을 3만원 내렸습니다. 누군가가 또 연락이 왔네요. 그런데 자기가 멀리서 온다고 차비 좀 빼달라고 합니다. 어차피 잘 안 팔릴 것 같기도 하고 계속되는 거래에 마음이 지쳐, 나는 어서 이 지긋지긋한 물건을 팔고 싶습니다. 그래서 쿨하게 네고를 받아주고 90만원에 아이폰을 팔았습니다.

최종적으로 중고 아이폰의 가격은 얼마일까요? 내가 처음 부른 100만원일까요? 아니겠죠? 바로 물건이 팔린 가격인 90만원입니다. 그리고 이것이 바로 호가창의 원리입니다.

중고 아이폰을 팔고 싶은 사람은 어떻게든 비싸게 팔고 싶어 합니다. 마찬가지로 주식도 가지고 있는 사람은 비싸게 팔고 싶겠죠? 이것이 매도 호가창입니다. 팔겠다는 사람의 가격을 비싼 순으로 위에서부터 나열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가격 옆에는 이 주식을 팔겠다는 사람의 수가 숫자로 써져 있고요.

반대로 아이폰을 살려는 사람은 어떻게든 물건 가격을 깎아서 사고 싶겠죠? 주식도 마찬가지로 싸게 사고 싶은 사람의 가격을 싼 순으로 아래에서부터 위로 나열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파는 사람과 사는 사람의 가격이 일치가 되는 순간(아이폰 거래 때 네고 해준 최종가격) 주식은 거래가 되는 것이고, 이것이 주식거래의 알파요 오메가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