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Linux/CentOS

로케일(locale) 설정

by refer 2024. 8. 25.
반응형

로케일(locale)은 사용자의 언어 , 숫자 형식 , 날짜/시간 형식 , 시간대 , DST(일광 절약 시간) , 통화 형식을 설정하고 있는 변수 모임이다.

 

1. 로케일을 확인하기 위한 명령어는 locale --help 옵션을 붙여 도움말을 확인 할 수 있다.

     한글 도움말이 출력되었다.

     기본 로케일은 "ko_KR.UTF-8" 이다. 이 설정은 나라는 한국 , 언어는 한국어 , 언어셋은 UTF-8을 사용하는 것이다.

 

 

2. 로케일 변경해 보자.

     나라는 미국 , 언어는 영어 , 언어셋은 UTF-8을 사용할 것이다.

     다국어 지원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국제화 및 gettex를 인터넷에서 찾아보면 쉽게 확일할 수 있다.

 

 

3. localectl 명령어를 이용하여 로케일을 설정하기

    로케일 설정은 /etc/locale.conf 에 저장된다.

   

    로케일 및 키보드 설정 정보를 확인하기

 

 

4. 설정 가능한 로케일 출력하기

 

    설정 가능한 로케일 목록을 출력해 준다.

 

 

5. 로케일 설정

 

    아래 설정은 국가는 한국 , 언어는 한국어 , 언어셋은 EUC-KR으로 설정한 것이다.

 

    설정 후 localectl 으로 변경된 로케일을 확인할 수 있고 터미널의 경우 새롭게 접속하면 변경된 설정을 확인할 수 있다.

 

 

6. 사용 가능한 로케일 확인

 

     옵션 -a 사용하면 사용 가능한 로케일을 전부 출력해 준다.

 

 

6-1. 위에 너무 많이 출력되어, more를 사용하여 한 페이지씩 출력해 보자.

 

        (1) h : more 명령어 상태에서 사용할 수 있는 키 도움말 확인

        (2) q : more 명령어 종료

        (3) enter : 1행 아래로 이동

        (4) space bar , f : 아래로 1페이지 이동

        (5) b : 1페이지씩 앞으로 이동

        (6) = : 현재 위치의 행번호 표시

        (7) / 문자열 : 지정한 문자열 검색

        (8) n : 문자열 : 지정한 문자열을 차례대로 검색

        (9) v : 현재 열려있는 파일의 현재 위치에서 vi 편집기 실행

 

 

6-1. 위에 너무 많이 출력되어, grep를 사용하여 특정 숫자열을 찾아보자. 

 

       자주 사용하는 grep 옵션

 

       (1) -c : 일치하는 행의 수를 출력한다.

       (2) -i : 대소문자를 구별하지 않는다.

       (3) -v : 일치하지 않는 행만 출력한다.

       (4) -n : 포함된 행의 번호를 함께 출력한다.

       (5) -l : 패턴이 포함된 파일의 이름을 출력한다.

       (6) -w : 단어와 일치하는 행만 출력한다.

       (7) -x : 라인과 일치하는 행만 출력한다.

       (8) -r : 하위 디렉토리를 포함한 모든 파일에서 검색한다.

       (9) -m 숫자 : 최대로 표시될 수 있는 결과를 제한한다.

       (10) -E : 찾을 패턴을 정규 표현식으로 찾는다.

       (11) -F : 찾을 패턴을 문자열로 찾는다.

 

       예)

 

 

6-2. 위에 너무 많이 출력되어, grep를 사용하여 특정 문자열을 찾아보자.  

 

        예)

 

 

6-3. 위에 숫자열 또는 문자열이 너무 많이 출력된다.

 

       100개까지만 출력하고 싶다.

 

        예)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