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medatectl]
1. 시간정보 확인
- Local time : 현재 지역
- Universal time : 협정세계시
- RTC time : 하드웨어 시간(BIOS시계)
- Timezone : 어디 시간대 기준
- NTP enabled : NTP 활성화 여부
- NTP synchronized : NTP 동기화 되어 있는지 여부
- RTC in local TZ : 하드웨어 시계와 시스템 시계와 동일하게 사용할 것인지 여부.
yes 설정하면 썸머타임이 설정되지 않아, Timezone 설정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음
- DST active : DST(Daylight saving time 썸머타임) 설정여부
2. 시간 자동 동기화
3. 날짜와 시간 모두 설정
위 설정은 2025년8월20일 오후 10시 22분 22초로 설정한 것이다.
4. 날짜만 설정
5. 시간만 설정
6. 시간대 Time Zone 변경
6-1. 파이프(|) 와 grep 로 Asia 지역만 출력해서 보기
6-2. 변경하고 싶은 시간대가 있으면 아래와 같이 설정한다.
예) Asia/Seoul
7. RTC(하드웨어 시계) 시간 설정
- set-local-rtc yes 는 먼저 , 시스템에서 하드웨어 시계를 사용하게 설정한다.
- set-time 날짜 시간을 설정한다.
- set-local-rtc no 는 시스템에서 하드웨어 시계를 사용하지 않도록 설정한다.
8. 자동 시간 동기화
NTP(Network Time Protocol)를 사용하여 NTP서버와 자동 동기화 할 수 있다. (yes 또는 no)
[date]
9. date 명령어로 날짜와 시간 모두 설정
10. 날짜만 설정
11. 위에 설정한 날짜와 시간 보기
11-1. 원하는 포맷 방식으로 출력하기
- 시작은 + 시작
- %Y는 년도
- %m은 월
- %d는 일
- %H는 시간
- %M은 분
- %S는 초
- 더 많은 정보는 date --help 확인 할 수 있다.
[hwclock]
12. CentOS 6 이하 버전에서 hwclock 명령어를 이용하여 하드웨어 시계를 설정한다.
하드웨어 시계 날짜 및 시간 확인
13. 현재 시스템 시간을 하드웨어 시간으로 설정
- 시스템 시간 : 운영체제 즉, 리눅스시스템(리눅스커널) 에서 인식하고 있는 시간이다
(date 명령어로 확인하고 재설정 한다)
- 하드웨어 시간 : 메인보드에 있는 CMOS의 시간
(ROM-BIOS에서 인식하고 있는 시간으로 hwclock 명령어로 확인하고 재설정 한다)
14. 현재 하드웨어 시간을 시스템 시간으로 설정
15. 시간대(Time Zone) 변경
예) 미국에서 일본 도쿄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다면, 일본 도쿄 시간으로 변경해야 한다. Asia/Tokyo
리눅스의 시간대에 파일은 /etc/loicaltime 이다.
미국판 리눅스 시스템의 /etc/localtime 파일은 현재 미국 시간으로 설정되어 있을 것이다.
/usr/share/zoneinfo안의 도쿄시간을 찾아 /etc/localtime 파일로 덮어써서, 미국시간을 일본시간으로
변경 설정 할 것이다.
테스트1 : /etc/localtime 파일을 /etc/localtime.bk 새 파일 이름으로 복사한다.
(언제든지 미국시간으로 되돌리기 위해서 백업 복사파일)
테스트2 : /usr/share/zoneinfo/경로에 들어가면, 원하는 나라 도시의 시간대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는 도쿄시간을 /etc/localtime 복사한다.
테스트3 : date 명령어로 시스템 시간 설정이 잘 되어 있는지 확인한다.
[rdate]
16. 위에서는 NTP를 이용한 시간동기화를 설정했다면,
Time서버에서 시간을 가져와서 설정하는 방법을 확인한다.
테스트1 : bora.net 의 시간서버 시간을 확인한다.
테스트2 : bora.net 의 시간을 현재 서버의 시간으로 설정한다.
테스트3: 주기적으로 매일 원하는 시간에 시간을 동기화 할 수 있다. (00시 00분에 동기화)
'Linux > CentOS'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 사용자&그룹 설정 , 암호정책 설정 (0) | 2024.08.27 |
---|---|
로케일(locale) 설정 (0) | 2024.08.25 |
CenOS 7 방화벽 포트 오픈 (0) | 2024.08.20 |
CentOS 7 방화벽 정지 및 자동시작 하지 않게 설정 (0) | 2024.08.12 |
Centos7 백업/복구 (0) | 2024.04.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