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 주문에도 매우 다양한 형태의 방법이 있습니다.
HTS, MTS를 통해 살펴 보면 아래 종류 리스트가 있습니다.
알아보겠습니다.
도움되는 URL 공유 : https://toalmotexit.com/stock/stock-orders/
주식 주문의 종류와 의미
주식을 매매하기 위해서 우리는 보통 지정가를 많이 사용합니다. 하지만 주식 주문에는 지정가 이외에도 시장가, 조건부 지정가, 최유리지정가 등 다양한 주문방법이 있습니다. 오늘은 이렇듯
toalmotexit.com
1. 보통
지정가 주문이라고 합니다.
원하는 종목의 수량과 가격을 지정해서 주문하는 방법입니다.
가장 많이 이용하는 주문입니다.
매수의 경우 지정된 가격 또는 그 이하로 체결이 이루어집니다.
매도의 경우 지정된 가격 또는 그 이상의 가격으로 체결이 이루어집니다.
예를 들어 1만원에 매수주문을 내면 1만 원 이하에서 체결이 되고,
반대로 1만원에 매도주문을 내면 1만 원 이상에서 체결이 됩니다.
(1-1) 예
삼성전자 주가가 70,200원인데
나는 70,000원에 사고 싶다면, 주문 방식을 지정가로 선택하고
70,000원에 주문을 내면 됩니다. 시간이 지나서 가격이 7만원까지 내려오면 거래가 되고
내려오지 않으면 거래가 안됩니다.
2. 시장가 주문
가격을 지정하지 않고 원하는 종목과 수량만 지정해서 주문하는 방법입니다.
시장에서 형성되고 있는 가격 또는 형성될 가장 유리한 가격 조건으로 매매거래를 하는 주문입니다.
매수의 경우 사려고 하는 수량이 모두 체결될 때까지 가격을 올려가면서 매수가 되도록합니다.
매도의 경우 팔려고 하는 수량이 모두 체결될 때 까지 가격을 내려가면서 매도가 되도록 합니다.
즉, 시장가 주문은 어떤 가격이어도 무조건 주식을 사야할 때 사용하는 주문 방식 입니다.
시장가로 주문을 내게 되면 실제로는 그 주식의 상한가로 주문이 나갑니다.
상한가란 전일 종가 기준으로 오를 수 있는 최대 금액을 말합니다.
반대로 하한가는 하루 동안 주가가 하락할 수 있는 가장 낮은 금액을 의미합니다.
가장 비싸게 불렀기 때문에 가장 먼저 아래 호가부터 차례대로 체결이 되고, 주문을 낸 수량만큼 가격을
위로 밀어 올리면서 주식을 사게 됩니다.
3. 조건부지정가 주문
정규매매시간 동안은 지정가 주문으로서 역할을 하지만 지정한 가격에 체결이 되지 않은 경우 장 마감 10분 전 단일가매매시간(15:20~15:30)에 시장가 주문으로 바뀌는 주문입니다.
(3-1) 예
삼성전자의 현재 가격이 70,200원이지만
나는 70,000원에 조건부지정가로 주문을 냈다고 가정합니다.
15:20분까지 기다려도 70,000원에 도달하지 않았기에,
이후엔 시장가 주문으로 바뀌어서 70,200원으로 전부 체결되는 방식입니다.
싸게 사고는 싶지만, 뜻대로 안 돼도 오늘은 무조건 사야 할 때 사용하는 주문 방식입니다.
4. 최유리지정가 주문
종목과 수량만 지정합니다.
가격은 매수의 경우 최우선 매도호가의 가격으로, 매도의 경우 최우선 매수호가의 가격으로 지정됩니다.
시장가 주문과 비슷한 것 같지만 다릅니다. 시장가 주문은 주문수량이 모두 체결되도록 하지만, 최유리정가 주문은 반대편 최우선 호가로 주문되므로 주문수량이 모두 체결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4-1) 차트 예시
예 : 매수 최유리지정가 주문 (현재가 95,000원)
현재 호가 상황
매도 호가(판매 희망 가격) | 수량(주) |
96,000원 | 200 |
95,500원 | 300 |
95,000원 | 500 |
94,500원 | 400 |
94,000원 | 600 |
매수 최유리지정가 주문을 넣으면?
자동으로 95,000원 (가장 낮은 매도 호가)에 주문이 들어갑니다.
(4-2) 결과
- 주가가 급변하지 않는다면 95,000원에서 즉시 체결
- 하지만 95,000원에 매도 주문이 없으면 체결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4-3) 매도 최유리지정가 주문 (현재가 95,000원)
현재 호가 상황
매수 호가(구매 희망 가격) | 수량(주) |
95,000원 | 400 |
94,500원 | 300 |
94,000원 | 600 |
93,500원 | 500 |
93,000원 | 700 |
매도 최유리지정가 주문을 넣으면?
자동으로 95,000원(가장 높은 매수 호가)에 주문이 들어갑니다.
(4-3) 결과
- 95,000원에서 즉시 체결 가능
- 95,000원에 매수 주문이 없으면 체결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4-4) 정리
최유리지정가로 주문을 내면 지금 바로 살 수 있는 호가로 주문이 나가게 됩니다.
바로 살 수 있다는 점에서 시장가와 비슷하지만 차이점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현재 가격이 7만원인 주식에 100주 주문을 냈다고 하겠습니다.
호가창에
7만원에 50주,
7만 100원에 30주,
7만 200원에 20주의 물량이 보입니다.
시장가로 주문을 내면 7만원에 50주를 체결하고
그다음 호가에서 30주를 체결,
또 그다음 호가에서 20주를 체결하여 100주를 모두 사게 됩니다.
하지만 최유리지정가는 첫 호가인 7만에 50주 주문만 체결되고 나머지는 취소가 됩니다.
5.최우선지정가 주문
종목 및 수량을 지정합니다. 그러나 매도호가의 경우 최우선 매도호가의 가격, 매수호가의 경우 최우선 매수호가의 가격으로 지정됩니다. 최유리지정가 주문과 다른 점은 최유리지정가 주문은 매수의 경우 최우선 매도호가로 가격이 지정되는 반면, 최우선지정가 주문은 매수호가 중 최우선 호가로 가격이 지정된다는 것입니다. 매도의 경우 최유리지정가 주문이 매수호가 중 최우선 호가의 가격으로 주문이 된다면, 최우선지정가 주문으로 매도할 시에는 매도호가 중 최우선 호가로 주문이 이루어집니다.
(5-1) 정리
최우선지정가로 매수 주문을 내면 매수 호가의 바로 윗호가로 주문이 나가게 됩니다.
반대로 매도 주문을 내면 매도 호가의 가장 밑 호가로 주문이 나가게 됩니다.
바로 주문이 체결되지는 않지만 한 호가라도 싸게 사거나 팔고 싶을 때 사용할 수 있습니다.
6. 시간외종가
정규 장이 마감되고 난 뒤, 또는 장이 열리기 전의 거래시간을 시간외종가라고 합니다.
정규장이 마감되었지만 급하게 주식을 팔아야 하는 사람들을 위해 종가로 거래할 수 있도록
마련한 제도 입니다.
우리나라의 시간외종가 시간은
오전 08:30 ~ 08:40,
오후 03:40 ~ 04:00 입니다.
이 시간 때에 시간외종가를 선택하고 주문을 넣으면 종가로 거래를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주식은 파는 사람이 있어야 살 수 있고, 사는 사람이 있어야 팔 수 있기 때문에 실제로
거래는 쉽지 않습니다.
7. 시간외 단일가주문
위 URL에서 퍼온 이미지 공유 드립니다.
정규장도 끝나고, 시간외종가 시장도 끝났지만 급하게 주식을 거래해야 하는 사람들을 위해 만들어진 거래방식입니다.
거래시간은 오후 4시부터 6시까지이며 종가기준으로 10% 내외의 가격으로만 주문을 넣을 수 있습니다.
주문 체결도 바로 되는 것이 아니라 10분 동안 모든 주문을 모아서 한방에 처리하는 것을 반복하기 때문에 인내심을
가지고 거래에 임해야 합니다.
7. 보통 IOC (Immediate Or Cancel)
일정한 조건을 첨부하여 주문하는 것입니다.
조건부여 주문에는 일부충족조건 주문과 전량충족조건 주문이있습니다.
IOC 주문은 체결할 수 있는 주문 수량을 체결하고 나머지는 취소하는 주문입니다.
반면에 FOK 주문은 주문 수량 전부가 체결되지 못하면 모두 다 취소하는 주문입니다.
시장가 주문이나 최유리지정가 주문의 경우, IOC 또는 FOK의 조건으로 주문할 수 있습니다.
시장에서 시세가 급변하는데 주문가격을 얼마로 써야할지 모를 때, 시장가 주문이나 최유리지정가 주문에 조건을 더해서 주문하면 좋습니다.
(7-1) 정리
IOC 주문은 체결되지 않은 주문을 자동으로 취소하는 방식입니다.
예를 들어, 현재 7만원에 50주의 물량이 있다고 가정합니다.
여기에 내가 70주 주문을 내면 50주는 체결이 되겠지만 20주는 체결이 안 되겠죠?
다른 주문 방식은 계속 주문내용이 남아있겠지만, IOC는 남은 20주의 주문을 자동으로 취소해 버립니다.
8. FOK (Fill Or Kill)
IOC와는 다르게 내가 낸 수량을 모두 소화할 수 있을 때만 체결되는 방식입니다.
다시 위의 예를 본다면 7만원에 50주의 물량이 있는 주식을 내가 FOK로 70주를 주문하게 되면
실제 물량에서 20주가 모자라게 되죠?
이럴 경우 아예 주문을 취소해 버립니다.
반면에 FOK로 50주 주문을 내면 모두 체결이 될 것이고요.
IOC는 일부는 체결하고 일부는 취소하는 반면에
FOK는 완전히 체결하던지 완전히 취소하던지
둘 중 하나를 선택 합니다.
'주식 > 기초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식매매 마인드 (중요학습) (0) | 2025.02.12 |
---|---|
주식을 나눠서 사고 팔라고요? (0) | 2025.02.11 |
키움증권 영웅문 주문창 이해하기 (0) | 2025.02.07 |
주식 필수 용어 (중요학습) (0) | 2025.02.05 |
주식시장 시간과 주식매매 알아보기 (0) | 2025.02.04 |